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미디어 리뷰

SNS에 중독되는 이유, 우리의 잘못이 아니다 (넷플릭스 소셜 딜레마 후기)

by 림뽀 2020. 9. 14.
반응형

유튜브를 한 번 보기 시작하면 왜 한 시간이 넘도록 계속 보게 될까? 내가 의지박약이라서 그런 것 같다. 이 시간에 책을 읽거나 공부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 시간이 너무 아깝다. 별 도움도 안 되는 쓸 데 없는 것만 봤다. 

 

출처 : Grzegorz Walczak

 

SNS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나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 넷플릭스 신작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에서 구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의 개발자들 또한 같은 문제를 겪는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소셜 딜레마 | Netflix 공식 사이트

중독과 가짜 뉴스에 시달리는 현대사회. 실리콘 밸리 전문가들이 용기 내어 경고한다. 자신들의 창조물, 소셜 미디어를 주의하라고.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결합한 영화.

www.netflix.com

 

우리가 SNS에 중독되는 이유는 SNS가 사람의 심리를 이용해 SNS 이용 시간을 늘리기 때문이다.

 

기술, 심리, 기획 전문가들이 인간 심리의 약점을 역이용하여 SNS에 중독되게 만든다. "소셜 딜레마"는 그들이 "어떻게" 사람들의 중독되게 만들고, "왜" 그런 짓을 하며,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SNS에서 탈출하기 위해 해야 하는 것을 알려준다.

 

출처 : Brett Jordan

 

1. SNS는 "어떻게" 사용자를 중독시키는가

|  감시하고 추적한다.

출처 : Matthew Henry

 

SNS 회사들은 누구든 무제한으로 추적할 수 있다.

 

방대한 데이터는 미래를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100% 성공 확률을 보장하는 광고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에서 하는 모든 행동은 기록된다.

 

무슨 이미지를 얼마나 오래 봤는지 알고 어떤 이미지에 관심이 더 많은지까지 계산한다. "스크롤 속도가 느려졌으니 이제 앱 사용 시간이 끝날 때가 되었네. 광고 말고 친구나 가족사진 띄워"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 우리가 누구이고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 능력은 점점 향상한다. 수집한 데이터를 팔지는 않는다. 보유한 데이터로 사람의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회사가 승리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SNS 회사의 목표는 이렇다.

1) 사용자의 사용 시간 늘리기

2) 성장 목표 : 계속 사람들을 많이 찾고 더 초대할 수 있게 하기

3) 광고 목표 : 광고를 통해 돈을 많이 벌기

 

그들의 목표는 이 세 가지 뿐이다.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다.

 

|  설득 기술을 적용한다.

출처 : Andrew Neel

 

설득 기술은 누군가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설계된 기술이다.

 

SNS 회사들은 설득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스크롤을 멈출 수 없게 하는 것을 목표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서 새로고침을 하기 위해 아래로 스크롤을 하면 항상 새로운 피드가 뜬다. 심리학에서는 이것을 "간헐적 정적 강화"라고 한다. 이는 언제 뭐가 뜰지 모르는 게 라스베이거스의 슬롯머신과 똑같다. 우리는 책상 위의 스마트폰을 볼 때마다 재밌는 것이 있을 거 같아 들여다보게 된다. 우리의 무의식에 심긴 "설득 기술" 때문이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6965703/pull-release-and-update-on-facebook

 

2. SNS는 "왜" 그런 짓을 하는가

|  사용자의 관심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출처 : Product School

 

"If you are not paying for the product, then you are the product.

상품의 대가를 치르지 않으면 네가 상품이다."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돈을 내기 않기 때문에 SNS 회사에서는 광고주가 고객이다. 회사는 광고를 보여주고, 고객을 원하는 방향으로 바꿔주는 대가를 받는다. 사람들의 관심이 곧 상품인 셈이다.

 

"인생의 몇 퍼센트나 우리에게 바치게 할까?"

 

SNS 회사는 사람들의 관심과 시간을 최대한 많이 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그리고 광고주가 원하는 정보를 노출함으로써 사람들의 행동, 사고방식, 정체성을 점진적으로 바꾼다.

 

3. SNS는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  페이스북는 투표 결과까지 바꿀 수 있다.

"페이스북에서 어떻게 무의식적인 신호를 줘서 사람들이 중간 선거에 투표를 더 하게 만들까?" 실제로 중간 투표를 더 많이 하게 만들었고, 아무도 모르게 사람들의 감정과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소셜 미디어는 도구가 아니다. 

사람들은 자전거가 개발되었을 때 사람들은 "오, 자전거가 세상을 망쳤어" 하고 화내지 않았다. 그런데 소셜 미디어는 세상을 망쳤다고 비판한다. 왜 그럴까?

 

본래 도구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만히 있는 존재이다. 도구가 우리에게 무언가를 요구하고, 유혹하고, 조종하면 그건 도구가 아니다. 기술이 도구인 사회에서 기술이 우리를 조종하는 사회로 변했다. 소셜 미디어는 그만의 목적이 있고, 우리의 심리를 역이용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There are only two industries that call their customers 'users': illegal drugs and software.

고객을 사용자라 부르는 산업은 두 가지가 있다 : 불법 마약과 소프트웨어

-Edward Tufte"

 

|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출처 : Austin Distel

 

개인화된 피드를 통해 사람들의 화면에는 자신의 관심사에 맞춘 정보가 뜬다. 자신의 견해와 가까운 정보만 뜨기 때문에 다른 쪽의 정보는 아예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의견만 맞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사람들은 서로를 더 이해하기 어려워지고, 정치의 양극화는 심해진다. 

 

|  가짜 뉴스를 퍼트린다.

출처 : United Nations COVID-19 Response

 

MIT의 한 연구에 따르면 트위터에서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보다 6배 빨리 퍼진다. 한쪽이 다른 쪽보다 6배나 유리한데 세상이 어떻게 될까? SNS는 허위 정보로 이윤을 남기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페이스북의 문제는 역사상 최고의 설득 도구라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작성을 띈 이야기를 너무 쉽게 퍼트릴 수 있다. 국민을 통제하는 데 페이스북만큼 효과적인 도구가 없다. 정부와 독재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제하여 오프라인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장 악명 높은 예시는 미얀마의 모슬렘 테러이다. 미얀마 사람들은 인터넷이라고 하면 페이스북을 생각한다. 미얀마에서 핸드폰을 새로 사면 주인이 가장 먼저 깔아주는 어플이 페이스북일 정도다. 일부 미얀마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모슬렘에 대한 폭력과 대량 학살 조장하고 실행에 옮겼다.

 

"정보의 원천이 오직 페이스북과 소셜미디어인 나라은 어떻나요?"

"민주주의가 빠르게 무너집니다. 6개월 만에요"

- 필리핀 SNS 플랫폼 Rappler의 CEO Maria A. Ressa

 

SNS가 전세계의 사회의 구조를 불안정하게 하고 침식시키고 있다.

 

SNS 해킹을 통해서가 아니다. 광고에 갈등을 조장하는 프로파간다를 싣는 방식이다. 이러한 광고는 양쪽 진영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혐오하게 만든다. 사회에 불균형을 만드는 것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국민이라면 같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서로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SNS는 사람들 사이의 균열을 더 깊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건 AI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AI는 클릭 자체를 분석할 뿐이기 때문이다. 

 

4. 해결 방법

|  규제가 필요하다.

출처 : Alexandre Debiève

 

기술 그 자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기술의 문제는 사회의 어두운 면을 끌어내는 것이다. 사회의 어두운 면이 실질적인 위험이다. SNS의 문제는 곧 사회의 문제이고, 사회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혼란으로 빠져들고 있다. 

 

기술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줬다. 기술의 발전으로 세상은 유토피아이면서 디스토피아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이 꼭 나쁘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SNS를 개발한 사람들이 처음부터 이런 현상을 알고 계획하진 않았을 것이다. 매 분기마다 더 나은 실적을 내야 하는 압박이 그들을 이렇게 만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수익와 관련된 규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통신 회사들은 엄청나게 많은 고객 정보를 보유하지만 정보 이용에 규제가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 그런데 디지털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법은 거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과 처리에 대해 세금을 물리는 방법도 있다.

 

"우리의 관심은 채굴될 수 있어요. 우리가 인생을 사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화면과 광고를 보는데 쓴다면 기업에게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기업들은 인공지능으로 우리의 관심을 끄는 방법을 알아내고 그들의 입맛에 맞는 것을 보게 만듭니다. 우리의 목표와 가치와 삶에 가장 부합하는 게 아니고요."

 

|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출처 : Jamie Street

 

우리는 인간을 자원으로 생각하지 말고, 서비스를 인간적으로 디자인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세상을 어떻게 더 좋게 만들까'가 목표가 되어야 한다.

 

SNS 회사에 서비스 시정을 요구하는 것 외에 개인이 SNS의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이렇다.

 

1. 알림 설정을 끄세요. 유튜브의 영상 추천을 받지 마세요.

2. 뭔가를 공유하기 전에 팩트를 확인하고 소스를 검토하고 검색을 더 하세요.

3. 당신의 삶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얻도록 하세요. 저는 트위터에서 저와 반대되는 의견의 사람도 팔로우합니다.

4. IT 산업 종사자는 자녀들에게 전자 기기를 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SNS를 접하는 시기를 늦추세요.

5. 시스템에서 탈출하고 바깥세상을 직접 경험하세요. 세상은 아름다우니까요.

 

출처 : Holly Mandarich

 


 

평소 SNS에 꽤 많은 시간을 쓰고 그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하고 있던 차였다. 적이 어떤 전략을 쓰고 있는지 알아야 나도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다큐멘터리를 보기로 했다. 실제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의 초기 개발자 및 기획자들이 인터뷰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SNS 사업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 내 블로그에도 구글 광고를 실으면서 SNS의 폐해와 관련된 리뷰를 적는 것이 모순이기도 하다. 하지만 SNS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내 블로그에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든다면 이야기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덧붙여, 나는 IT 기획자이다. 지금까지는 IT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를 붙잡아 두는 것에만 초점을 맞췄다. 기획자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편리한 기술이 있지만 조심해서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줄 의무가 있다. 따라서 다음 글에서는 Netflix의 인트로 스킵 기능은 어떻게 만들어지며 그 기술이 위험한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20.09.14

SNS에 중독되는 이유, 우리의 잘못이 아니다 (넷플릭스 소셜 딜레마 후기)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넷플릭스의 [오프닝 건너뛰기] 버튼은 어떻게 만든 걸까?

넷플릭스에서는 2018년 초부터 본편과 관계없는 구간을 건너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사용자의 빈지와칭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넷플릭스에서 최대한 많은 시간을 보내게 하기 위해 ��

rbworld.tistory.com

 

반응형

댓글